① 신체사정 (정상범위)
- 두위 : 33~35cm(머리엉덩길이와 같거나 2cm 더 길다.)
- 흉위 : 30.5~33cm
- 체중 : 2700~4000g(평균 3400g), 정상적으로 신생아는 3~4일 동안 출생체중의 10%까지 감소
- 활력징후
- 심부체온 : 36.5~37.6도, 액와체온이 직장체온보다 0.23도 낮게 측정됨
- 심첨맥박 : 120~140회/분
- 호흡 : 30~60회/분, 가슴과 배가 동시에 움직임, 횡격막 호흡과 복식호흡
- 혈압 : 출생 시 - 50~70/30~45mmHg, 10일째 - 60~90/40~50mmHg
- 맥박산소포화도 : 95% 이상, 상지와 하지간의 차이가 3% 이하
② 피부
솜털 (Lanugo) | 전신의 섬세하고 가늘며 부드러운 털, 이마, 뺨, 어깨 등에 피부에 존재 |
태지 (Vernix Caseosa) | 태아기름막, 회백색의 치즈 모양의 물질로 24~48시간 내에 흡수 |
생리적 황달 (Physiologic Jaundice) |
- 고빌리루빈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. 만삭아의 약 60%, 미숙아의 약 80%에서 관찰 - 생후 2~3일에 시작하여 12~14일까지 황달 지속(2~6mg/dL) - 미숙아인 경우, 혈청 빌리루빈이 생후 4~5일에 10~12mg/dl로 최고로 이르다가 2주 동안 천천히 감소 - 원인 : 적혈구 증가, 적혈구의 짧은 수명으로 많이 깨짐(신생아 90일, 성인 120일), 간기능 미숙으로 빌리루빈 흡수 저하, 장의 세균 부족과 초기수유의 수분섭취 부족 등 |
몽고반점 (Mongolian spot) |
보통 천골과 둔부에 보이는 불규칙적인 청색의 색소 침착, 아프리카, 인디언, 아시아나 히스패닉계의 신생아에게 주로 나타남 |
구진 (Milia) |
패립종, 뺨, 턱, 코에 생기는 작은 흰색의 구진, 피지선 확장에 의함 |
중독성 홍반 (Erythema Toxicum) |
가슴, 등, 둔부 복부에 넓게 나타나는 수포를 포함한 분홍색의 구진성 발진, 24~48시간 내에 나타날 수 있고, 수일 후 소실 됨 |
할리퀸 색조 (Haallequin color) |
신생아가 측위일 때 보이는 피부색의 변화, 신체의 하반부는 분홍색이고 위는 창백함 |
③ 머리
- 대천문 : 앞숫구멍, 시상봉합과 관상봉합 사이에 위치, 길이 4~5cm 마름모꼴, 12~18개월에 닫힘
- 소천문 : 뒤숫구멍, 인지상 인자봉합 사이에 위치, 출생시 0.5~1cm 삼각형 모양, 6~8주에 닫힘
- 산류(Caput succedanum) : 두피와 골막 사이에 생긴 부종, 봉합선을 넘어서 생김, 서서히 흡수되어 사라짐
- 두혈종(Cephalohematoma) : 두개골과 골막 사이에 파열된 혈관의 혈액이 고인 것, 혈종이 봉합선을 넘지 않고 두개골 한쪽에만 국한, 혈종의 흡수는 2~3주 이상 걸림
④ 반사
모로반사 | 갑작스런 충격이다 평형의 변화로 사지를 외전하고 뻗치고 손가락은 펼쳐짐 | 3~4개월 후에 사라짐 |
긴장성 경반사 | 펜싱 반사, 영아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, 그 쪽의 팔과 다리는 신전되고 반대쪽은 굴곡됨 | 3~4개월에 사라짐 신체 양쪽의 대칭적 체위로 대체 |
파악반사 | 손바닥과 발바닥에 검사자의 손가락의 기저부를 대면 손과 발가락을 오므림 | 손바닥은 3개월 발바닥은 8개월에 감소 |
흡철반사 | 입 주위를 자극하면 강하게 빠는 동작 | 영아기 동안 지속됨 |
포유반사 | 입가를 따라 뺨을 만지거나 두드리면 그 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빨기 시작함 | 3~4개월이면 소실 12개월까지 지속될 수 있음 |
바빈스키반사 | 발바닥의 바깥쪽을 뒤꿈치에서부터 긁으면 발가락이 과다신전 되고 엄지발가락은 배굴 | 1년 후에 소실 |
⑤ 위장관계
- 태변(Mecomium) : 배내똥, 자궁 내에서 양수와 그 성분, 창자 분비물, 떨어져 나온 점막 세포로 형성. 진하고, 타르와 같고, 검거나 어두운 녹색, 24~48시간 이내에 배출되어야 하며 미숙아일 경우 지연될 수 있음
- 이행변(Transitional stool) : 녹갈색 ~ 황갈색, 수유를 시작한 후 3일 정도부터 나타남, 약간 묽음, 점액성, 태변과 출생 후 생성된 대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생 후 1~2일 동안 배설 됨, 응결된 우유를 포함함
⑥ 모체호르몬영향
- 마유(Witch’s milk) : 남녀의 구별 없이 생후 3~4일경부터 신생아의 유방에서 나오는 초유와 비슷한 액체, 임신 중 모체로부터 여성호르몬이 태아의 체내로 들어가서 일어나는 현상, 2 ~ 3주가 지나면 사라짐
- 가성월경(Pseudomenstruation) : 생후 첫 주 동안 진한 흰 점액으로 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음, 분비물에는 피가 섞이는 것, 모체호르몬의 갑작스러운 감소에 의한 것, 2 ~ 4주 내에 사라짐
⑦ 기타 - 생리적 체중감소 & 생리적 저프로트롬빈혈증
< 생리적 체중감소 >
- 신생아는 생후 수분의 섭취가 적은 것, 피부, 호흡기, 소변, 대변으로부터의 수분상실이 있고 수분대사가 많기 때문에, 생후 점차로 체중은 감소함
- 생후 3~4일째가 최소로 되어 출생체중의 10%까지 감소됨, 이후 유즙 및 물의 섭취의 증가와 함께 점차로 증가하여 7~9일경에는 출생치 체중을 넘게 됨
< 생리적 저프로트롬빈혈증 >
- 신생아의 간에는 간세포가 성인의 20% 미만밖에 없어 위장관 중에서 간기능이 가장 미숙함
- 간에서 생성되는 프로트롬빈과 기타 혈액응고인자의 함량도 낮음
- 간에서 프로트롬빈을 합성시켜 혈액응고 기능을 하는 vit K를 출생 후 6시간 내에 0.5~1mg 1회 외측광근에 주사
* 참고
- 수문사, 최신건강아동학1, 2
- 서울아산병원
- 서울대학교병원
- 삼성서울병원
- 연세 세브란스병원
반응형
'간호 공부 > 아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동 입원간호, 통증사정 (0) | 2022.08.07 |
---|---|
신생아 중환자실 특수검사 및 처치 (0) | 2022.08.05 |
아동 MCLS (가와사키병, Mucocutaneous lymphnode syndrome) 문헌고찰 (정의, 원인, 병태생리, 임상증상, 진단, 치료, 간호) (0) | 2022.08.04 |
아동 기관지염 (bronchitis) - 모세 기관지염(bronchiolitis) 문헌고찰(정의, 원인, 병태생리, 임상증상, 치료 및 간호) (0) | 2022.08.04 |